반응형
내부 아이피로 라즈베리파이 웹 서버에 접속해보았습니다. 역시 내부인지라 좀 그렇네요..
라즈베리파이서버를 널리 알리려면 도메인이 필요하죠. 더욱이 필요하죠..
아이피 타임 공유기 관리자페이지 http://192.168.0.1 에 접속합니다.
공유기에 비밀번호가 있다면 입력 후 넘어가주세요.
고급설정 -> NAT/라우터 관리-> DMZ/Twin IP설정에 들어가줍니다. DMZ설정이 되어있어야합니다.
사용하지 않음에서 DMZ로 체크 후 라즈베리파이 서버의 내부 아이피를 넣어줍니다. 그 후 적용 눌러주시고요.
고급 설정 -> 특수기능 -> DDNS설정에 들어갑니다.
반드시 이 방법을 따라주시고요.
이러면 남이 등록하지 않은경우 에러가 나지 않고 정상등록이 됩니다.
저렇게 뜨면 즉시 호스트이름으로 접속해보시길바랍니다..
두둥.. 아이피타임 공유기만으로 DDNS가 설정이 되었습니다. 다음편에는 크론탭을 이용한 DDNS자동갱신을 알아보도록하겠습니다.
아래의 손가락버튼을 눌러주시면 블로그에 매우 큰 도움이됩니다. 히히
Copyright © 이동마이의 컴퓨터 하루 All Rights Reserved.
반응형
'Raspberry Pi'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즈베리파이]라즈베리파이 아파치 기본페이지 바꾸기 (0) | 2013.10.29 |
---|---|
[라즈베리파이&산딸기]라즈베리파이 APM (라즈베리파이 아파치 설치,PHP설치, mysql설치 필독) (4) | 2013.10.28 |
[라즈베리파이]라즈베리 파이의 유래(?) 라즈베리파이 메뉴얼. (0) | 2013.01.03 |
[라즈베리파이]라즈베리파이 - vnc 모니터 연결 못하시는 분들 모니터 사용하기 (0) | 2013.01.03 |
[라즈베리파이]sd카드 고장났어욬 (0) | 2012.12.28 |
한빛가람 필자가 게시한 대부분의 블로그 게시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게시물에 CCL이 적용되지 아니하다고 적혀있는 경우엔 본 라이선스 적용 대상이 아닙니다.
댓글